지의류는 곰팡이류와 녹조류 등의 광합성 생물 간의 공생체로 이루어진 독특한 생명체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두 생물이 서로 공생하며 새로운 생명이 되는 것이 아닌 생명체인척하면서 살아갑니다. 지의류의 대표적인 생명체로 우산이끼 순록이끼부터 올드맨의 수염 등 흥미진진한 이름 일색입니다.
식물도 곰팡이도 아닌 지의류의 특징
지의류는 곰팡이와 녹조류 혹은 청록조로 불리는 남조류의 공생체로 발생하면서 살아가는 생명체인데 곰팡이는 지의류의 몸체를 형성하고 광합성 생물은 곰팡이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그러니까 버섯처럼 보일 수도 이끼처럼 보일 수도 있는 애매한 형태의 식물 아니 생명체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확하게 식물이 아닌 독특한 생명체로 분류합니다.
지의류의 종류
우산이끼와 순록이끼는 대표적인 지의류 생명체입니다. 우산이끼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발견되며 둥근 우산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흔히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식용으로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한약재로 쓰인다고도 하는데 흠. 그리고 순록이끼는 북극과 아한대 지역에서 자주 발견되는 생명체이며 이름대로 순록의 주식입니다. 순록 이끼는 가지 모양으로 자라며 흰색 혹은 회색을 띠는데 순록의 주요 먹이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장식이나 생태 연구에 자주 쓰인다고 합니다.
노랑입술지의(Xanthoria parietina)와 올드맨의 수염(Usnea)그리고 파르멜리아(Parmeliaceae)도 대표적인 지의류 생명체입니다.
노랑입술지의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주로 바위나 나무껍질 그리고 지붕 등에서 자랍니다.
혹여 이들이 곰팡이라고 나쁜 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외모는 좀 독특하고 기기묘묘해도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합니다. 오히려 공기를 맑게 해 주는데 도움이 되는 식물 아니 생명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나쁜 곰팡이균은 널리 퍼지면서 포자를 대량으로 퍼뜨리지만 이러한 지의류는 주로 외부 표면 등에 붙어 기생하며 공생하는 생명체라 숨죽이며 이로운 영향을 주며 사는 생명체입니다. 물론 매우 드물게 이런 생명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인간들도 소량 있다고는 합니다.
올드맨의 수염은 주로 고산 지대의 나무 가지에서 발견되는 생명체입니다. 은은한 녹색을 띠며 주로 약용으로 사용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감염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고 합니다. usnea 약 등에 이 성분이 표시되어 있는지 살펴봐야겠네요. 그리고 파르멜리아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살고 있는 지의류이며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공생을 어떻게 하나
보기에는 영락없는 식물인데 식물이 아닌 생명체, 그것도 독립적인 생명체로는 존재할 수 없지만 공생하는 생명체인 지의류는 어떻게 영양을 공급받나 했더니 주로 다른 유기체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우선 조류에게 보호와 물 그리고 무기염류를 제공하고 조류는 이들에게 광합성을 통해 얻은 유기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공생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식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번식하는데 지의류는 주로 포자를 통해 번식하며 때로는 일부가 따로 떨어져 나가 새로운 개체로 성장하기도 합니다.
곰팡이도 식물도 아닌 독특한 생명체
누가봐도 영락없는 곰팡이 혹은 식물로 보이는데 둘 중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더 놀라운 지의류입니다. 이 특별한 공생체인 지의류는 생물학적으로 독립적인 범주로 분류되며 곰팡이와 식물과는 구분이 됩니다. 그리고 지능도 없는 것이 수명은 길어서 몇 년에서 수백 년 아니 수천 년까지도 생존이 가능합니다. 지능은 없고 세상의 모든 것을 기록하는 생명체는 아니지만 적어도 서식하는 환경의 상태와 변화를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요? 신기하고 놀라운 생명체입니다.
'미스테리한 정보와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낙시만드로스의 아페이론 정리 (1) | 2024.08.31 |
---|---|
아낙사고라스의 누스 개념에 관하여 (0) | 2024.08.29 |
6차원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0) | 2024.08.16 |
유물론과 관념론의 차이 (1) | 2024.06.10 |
다차원 이론의 기초를 제공한 이론 칼루자-클라인 이론에 관하여 (1) | 2024.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