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지성, 마음 혹은 영혼 및 이성을 의미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우주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원리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물질적 세계를 넘어서 존재하는 신성한 지성적 원리로 간주되며 사유와 인식의 능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고대 철학자 아낙사고라스가 창시하여 훗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등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누스(Nous)의 개념 정리
아낙사고라스는 누스를 우주와 자연의 근본 원리로 삼았습니다. 그는 만물이 무한히 작은 씨앗, 그러니까 입자 같은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입자들이 사랑과 증오로 결합 혹은 분리되면서 세계가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니까 누스는 우주의 혼돈 속에서 질서를 세우는 역할을 하며 만물이 무질서하게 섞여 있는 상태에서 누스가 이들을 분리하고 결합하면서 질서를 형성한다고 본 것입니다. 그러면서 누스가 세계의 모든 변화와 운동을 주관하며, 자연의 법칙을 제정하는 지성적 원리로 기능한다고 보았습니다. 아낙사고라스는 이 누스를 가장 순수하고 미세한 것으로 보았으며 그것이 모든 것의 근원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아낙사고라스의 누스는 비물질적, 자족적, 무한성으로 특징지으며 물질과 구별되는 비물질적 실체로 우주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자족적 실체로 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무한한 지성을 가지고 있으며 만물의 근원적 원리를 형성하는 무한성을 특징으로 삼습니다.
플라톤이 이어 받은 누스 개념
아낙사고라스의 누스 개념은 플라톤이 영감을 받아 이것을 인간의 영혼과 결부 짓게 됩니다. 그는 누스를 영혼의 가장 높은 부분으로 보았으며 그것이 진리와 형상 그러니까 이데아에 대한 지식을 통해 현실을 이해하는 능력을 제공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플라톤은 누스를 통해 인간이 이데아 즉 영원하고 변치 않는 진리의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렇게 누스는 이데아를 인식하고 인간이 진정한 지식을 얻는 도구로 여겼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누스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누스를 보다 현실적이면서 구체적으로 해석합니다. 그는 누스를 지성으로 보며 인간 영혼의 이성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게 됩니다. 그래서 그는 누스를 실천적 지성과 이론적 지성으로 나누어 누스가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인간이 진리를 깨닫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신플라톤주의와 누스
이들의 영향을 받은 후배 철학자들은 누스를 우주의 신적인 이성으로 수용하기 시작합니다. 이들은 누스를 모든 존재의 근원이며 신성한 원리이자 만물이 유출되는 첫 번째 실체로 보았습니다. 그중에서 신플라톤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플로티노스는 누스를 신성한 원리이자 그것이 만물의 근원적 형태와 진리를 포함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성적이고 신적인 원리 개념 누스
누스는 고대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지성적이며 신적인 원리로, 우주와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며 이 개념의 창시자 아낙사고라스부터 비롯된 이 개념은 물질적 세계를 넘어서 존재하는 신성한 지성적 원리로 간주되며 사유와 인식의 능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미스테리한 정보와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욕의 무덤 키브로스 하타아와 스토리 (1) | 2024.09.04 |
---|---|
아낙시만드로스의 아페이론 정리 (1) | 2024.08.31 |
곰팡이도 아니고 식물도 아닌 독특한 생명체인 지의류에 관해 알아보자 (2) | 2024.08.28 |
6차원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0) | 2024.08.16 |
유물론과 관념론의 차이 (1) | 2024.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