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스테리한 정보와 과학45

혼돈과 악의 상징 뱀에 관하여 성경 속의 뱀은 교활하고 사악함을 상징합니다. 어쩌다 뱀은 이런 오명을 쓰게 된 것일까요. 아무래도 팔다리가 없고 혓바닥을 길게 빼고 다니면서 쇳소리를 내다보니 으레 나쁜 짐승이겠거니 하고 생각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뱀이 일부러 사람을 물고 다닌다기보다 건드리면 물리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뱀에 관한 이미지 혼돈과 악의 상징 뱀 니비루 외계 행성에서 지구로 첫 착륙했을 때 마주한 첫 생명체은 뱀이었습니다. 뱀이 쇳소리를 내며 기어 다니는 모습을 보고 지구 생명체가 다 이런 가 오인하였던 겁니다. 그리고 성경에서 뱀은 마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듯이 순진한 이브를 유혹하여 선악과를 먹게 합니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도 뱀은 혼돈과 악의 상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치유 갱신 부활의 상징 신.. 2023. 3. 5.
성경 속 에녹과 수메르 신화 속 엔메두란키 성경이 출간된 후 성경 속 에녹이란 인물은 현재까지도 수많은 매혹과 추측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인간이 죽음의 끝을 보지 않고 어느 순간 사라졌다는 것은 무척 신비로운 일일 테니까요. 성경 속 에녹과 비슷한 인물이 보다 오래전 수메르 신화 속에서도 존재했습니다. 에녹의 첫 등장 그리고 수메르 신화와의 유사성 창세기 5장 21절 에녹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에녹은 365살까지 살다가 죽지 않고 하나님과 함께 사라져서 화제가 된 인물입니다. 수메르 신화에도 이러한 에녹과 비슷한 인물이 있습니다. 엔메두란키는엔메두란키는 전설 속 왕이며 신들로부터 지식을 전수받은 제사장이기도 하였습니다. 에녹과 마찬가지로 엔메두란키는 죽지 않고 천국으로 함께 떠났다고 합니다. 엔메두란키 이야기 엔메두란키는 기원전 2천 년.. 2023. 3. 1.
수메르 신화에 나오는 아눈나키에 관하여 아눈나키는 수메르어로 우주에서 지구로 온 자들이란 뜻입니다. 수메르 문명은 수천 년 전 이집트 파라오 시대가 등장하기 전 현재의 이라크 지역에서 번성 했던 문명이며 특히 수메르 신화는 성경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그리스 신화와 성경의 출처 수메르 신화 고대 그리스 문명 및 그 유명한 그리스 신화 그리고 구약 성경 내용까지 수메르 신화의 흔적이 담겨 있습니다. 우주에서 지구로 온 자들이란 뜻인 아눈나키는 혼자가 아닌 여러 명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일종의 외노자입니다. 아눈나키가 지구에 온 목적 지금으로부터 약 45만 년 전 니비루 행성의 거주자들 즉 아눈나키가 지구에 착륙합니다. 그중에 엔키는 물고기 모양의 방수복 같은 곳을 입고 물속에서 살았다나 뭐라나, 하는데요. 신화 속에는 물의 신이라고도 하고 그냥.. 2023. 2. 22.
1943년 필라델피아 실험실 이야기는 사실일까? 1943년에 미국 해군이 투명 해군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였는데 이는 사실 투명 해군함이 아닌 시간 여행을 실험한 거였다고 미스터리 한 유튜브 등에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이 사실인지 알아보았습니다. 필라델피아 실험실에 관하여 필라델피아 실험이란? 1943년 전쟁 중에 미국은 보다 완벽한 투명 군함을 만들기 위해 유수한 과학자들이 모여 연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군의 지휘 아래 과학자들이 실험 과정에서 통일장론으로 알려진 장치를 이용해 주변에 전자기장을 만들어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하는 실험을 하였으나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이 순식간에 사라지고 얼마 후 400킬로 떨어진 곳에 발견되었다는 얘기입니다. 이들 중 일부만 살아남고 죽거나 사라졌다고 하는데요. 믿기지 않는 이 스토리가 과연 사실인지.. 2023. 2. 19.
건달의 시대 깡패와 양아치의 차이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할 정도로 대한민국에 깡패와 건달이 많았으며 이들은 21세기에 사업가의 탈을 쓰고 나름 진화를 거듭해 오고 있습니다. 영화 등에서도 갱무비는 인기가 있는데 막상 한국어로 건달과 깡패 그리고 양아치의 차이가 모호할 때가 있습니다. 건달의 유래와 건달의 범주 일반 사람들은 건달이니 깡패니 양아치니 다 한통속 같지만 그들 나름대로의 레벨이 있는가 봅니다. 아무래도 깡패나 양아치, 조폭 등을 통틀어 건달의 범위에 넣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이 건달은 어디서 유래한 걸까요. 찾아보니 건달은 불교용어 건달바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원래 뜻이 하는 일이 없이 빌빌거리며 노는 사내를 일컫는다고 하네요. 거기에 더해 난봉이나 부리고 다니는 불량한 사람 혹은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 남을.. 2023.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