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처음으로 지구 둘레를 계산한 에라토스테네스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는 기원전 276년에 태어나 194년까지 산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음악 이론가 등 한마디로 시대를 앞서간 천재였습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지만 언제나 알파가 아닌 베타라는 별명을 얻어야 했는데요. 너무 앞선 천재라 세상이 알아주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최초로 지구 둘레를 계산 에라토스테네스는 리비아의 시레네 현재의 리비아 셜리너 지방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젊은 시절 아테네에서 수학, 철학, 문학을 공부하였고 훗날 이집트의 프롤레마이오스 3세의 초청으로 알렉산드리아로 이주하여 지금은 흔적 없이 사라진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이 되었습니다. 이 도서관은 당시 세계 최대의 도서관으로 많은 학자들이 연구와 학문을 발전시키는데 중.. 2024. 6. 4. 비앙카 재거의 고향 니카라과에 관하여 니카라과 공화국은 중앙아메리카에 있는 나라입니다. 70년대 믹재거의 아내 비앙카 재거의 고향으로도 유명하죠. 그녀 덕분에 나라가 세상에 알려진 공도 있고요. 북쪽으로는 온두라스 남쪽으로는 코스타리카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대략 멕시코와 콜롬비아 사이의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니카라과 스토리 니카라과란 이름은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기 전 니카라과 호수 해안에 거주했던 나후아틀어를 사용한 부족의 이름인 니카라오(Nicarao)와 스페인어로 물을 의미하는 아쿠아(Aqua)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지역에 코치볼카 호수와 마나과 호수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물의 나라와 연관이 깊어 보입니다. 원시 부족 속으로 아무래도 이 지역은 스페인 등의 유럽의 정복 전쟁만 아니었으면 세세토록 고요하게 .. 2024. 5. 13. 성경에 등장하는 나실인에 관하여 민수기 6장에 등장하는 나실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성경 속 나실인은 거룩한 신분의 특별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 같은데 머리를 기르고 포도주와 독주를 금하며 스스로 신에게 봉헌할 것을 서원한 사람인데 삼손과 같이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일 수도 있고 하나님 앞에 일정기간 혹은 평생 헌신하기로 자원해서 서원한 사람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나실인은 남녀 구분을 두지 않았다고 하고요. 거룩한 백성 나실인나지르, 한국어로는 나실인이라고 하는데 분리되었다는 뜻을 지닌다고 합니다. 일정기간 혹은 평생 신에게 봉사 혹은 봉헌할 것을 맹세한 사람으로 음주를 금하고 머리를 깎는 게 아니라 기르고 죽은 자 가까이 가지 않고 등 일련의 규칙을 지키며 사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부처에서는 스님이고 성당에서는 수녀와 같은 역할.. 2024. 5. 10. 중국 왕조 순서 중국 왕조에 관해 순서대로 간략하게 나열해 보았습니다. 중국 최초의 국가 하나라 1.하나라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국가로 알려져 있긴 합니다만 사료에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문헌상 최초의 국가 은나라 2.은나라은나라는 하나라와 마찬가지로 전설 속 국가였지만 은나라 수도 은허에서 갑골문자 등의 유물이 발견되면서 기록상 최초의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주나라중국 최초의 혈연적 봉건제도를 가진 국가입니다. 견융의 침입으로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합니다. 4.춘추전국시대춘추시대와 전국시대로 나뉘며 진나라가 위,조, 한나라로 갈리면서 춘추시대가 끝나고 전국 시대가 시작됩니다. 춘추시대엔 주나라 왕을 인정하고 공으로 칭했지만 전국 시대에는 서로 왕이라 칭하며 7개의 강대국이 통일을 위해 싸웠습니다. 그리고.. 2024. 5. 2. 필라테스와 요가의 차이 필라테스를 잘 모를 때는 요가와 필라테스가 비슷한 줄 알았더니 거의 비슷한 접점을 찾을 수 없을 정도입니다. 다만, 요가 강사 출신들이 필라테스 강사를 한다는 점이랄까요? 필라테스는 명상과 호흡보다는 몸의 균형과 체력 강화를 위한 과학적인 운동이란 점을 명심하길 바랍니다. 필라테스와 요가의 기원에 관하여 필라테스에 관하여 필라테스와 요가는 균형을 찾는 운동이란 점에서는 상당히 유사점이 보이긴 합니다. 필라테스는 20세기 초반 조셉 필라테스가 개발하였고, 그런 과정에서 해부학도 공부하고 체조와 무술 그리고 요가 등 좋은 것만 추려서 퓨전으로다 운동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요가는 수천 년 전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명상법입니다. 정신 건강을 추구하면서 자세, 호흡 운동, 명상에 치중하였으나 점점 이것이 현.. 2024. 4. 29. 수학적 귀납법 개발자 드모르간 및 귀납법의 차이에 관하여 수학적 귀납법은 자연수에 대한 진술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기술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진술이 모든 자연수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게 해주는 연역적 추론의 한 형태, 귀납법은 특정한 경우에서 일반적인 원칙으로의 추론을 의미합니다. 또한, 수사학에서의 귀납법과 수학에서 귀납법은 매우 다르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수학자 드 모르간에 대하여 1806년에 태어나 1871년에 사망한 영국의 수학자 드 모르간은 동인도 회사에서 일하던 군인의 아들로 인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숫자 놀이에 관심이 많았지만 수학적 재능이 뛰어난 편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수학을 너무 좋아하여 수학 교수도 하고 공헌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수학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박사 학위 없는 수학자였다고 합니다.. 2024. 4. 26. 루트의 창시자 르네 데카르트의 지수 이야기 현대 철학의 아버지 르네 데카르트의 업적은 무수히 많지만 요즘 대중들이 많이 쓰는 좌표 찍기의 최초 발명자이기도 합니다. 누군가를 공격하기 위함이 아닌 과학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파리의 움직임을 좌표로 만들고 거듭제곱근을 만들어서 현대 응용통계 등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르네 데카르트의 프로필 르네 데카르트는 1596년 생으로 1650년에 졸한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및 과학자입니다. 그는 서양 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죠. 언제나 생각하고 고찰하고 탐구하면서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그의 .. 2024. 4. 24. 퇴마용으로 활용된 한국의 액막이와 성경속 아사셀에 관하여 한국에서 액막이는 악을 퇴치하는 용도로 살아있는 생물보다는 사물에 영을 입혀 버리거나 붙이거나 태우는 등의 의식이 주된 반면, 성경에 나오는 아사셀은 인간의 죄를 짊어지는 염소로 광야로 버려지는 역할을 합니다. 항간에는 그로 인해 염소가 악마가 되었다느니 원래부터 악마였다는 등 말이 많지만 구약 레위기에 등장한 그대로는 속죄의 번제물로 활용됩니다. 동양에는 염소가 풍요를 상징한다면 서양에서는 그 반대인 것이 흥미롭기도 하고 살아있는 생물에게 죄를 뒤집어쓰고 떠나보낸다는 것이 이색적입니다. 최초의 퇴마의식 레위기 16절에 아사셀이 등장하는데요. 속죄의 날을 설명하기 위해 일종의 희생 염소로 사용되는 제물입니다. 그러니까 인간들의 죄를 아사셀이란 염소가 뒤집어쓰고 광야로 버려집니다. 아사셀에 관해선 여러 말.. 2024. 3. 11.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 반응형